반응형
GCC 컴파일러 사용방법
//리눅스를 공부 할 시간이 없어서 우선 기본적인 것만 알아둘련다 ㅠㅠ
우분투 사용
GCC는 C언어 컴파일러임.
vim 이라는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
1. 작업 할 폴더 생성
간단하게 c로 생성 ㅇㅅㅇ
2. Open in Terminal
음 저 주황색이 아니고 아래쪽에 Open in Terminal을 눌러준다. (우클릭으로)
3. 이렇게 나옴
4. vim을 사용하자
위의 화면은 test01.c 라는 이름의 빈 파일이다.
vim은 입력모드와 명령모드가 있는데 아래그림이 명령모드임
5. vim의 명령모드
6. vim의 입력모드
i를 입력하게 되면 --끼워넣기--가 나오고 이제 코드를 작성 할 수 있다.
7. 가장 기본이 되는 "hello world!" 작성
입력이 끝나면 ESC를 눌러서 명령모드로 돌아감
8. 저장 후 종료
:wq를 입력해주고 엔터!
그러면 test01.c 라는 파일이 생성됨
9. 실행파일 생성
gcc 파일이름 -o 실행파일 이름
test01이라는 실행파일이 생성됨
10. 생성이 됬다
11. 터미널에서 실행
./test01 을 하면 test01에 있는 파일을 실행
12. Hello world! 출력
성공적...☆
//컴파일은 할 수 있겠군
반응형
'CS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Compile & Link with gcc (0) | 2019.04.11 |
---|---|
[리눅스] vi / vim Editor (0) | 2019.04.11 |
[리눅스] 파일명의 확장 (0) | 2019.04.09 |
[리눅스] UNIX 명령어 (0) | 2019.03.18 |
[리눅스] Putty 설정 (0) | 2019.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