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함수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과일(입력)--------->믹서기(함수)-------->주스(출력)
즉, 과일을 입력받아 주스를 출력하는 함수와 같다.
그렇다면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바로 반복되는 부분이 있을 경우 이를 함수로 작성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고 현명하기 때문이다.
<파이썬 함수의 구조>
-일반적인 함수
def는 함수를 만들 떄 사용하는 예약어이며, 함수명은 마음대로 설정 가능함.
위의 그림은 합성함수를 내가 만들어본 것 인데,
함수이름은 sum이고 입력 인수로 2개의 값을 받으며 결과값은 2개의 입력값을 더한 값이다.
-입력값이 없는 함수
-결과값이 없는 함수
-입력값도 결과값도 없는 함수
>>>함수명()
도 있다.
-여러개의 입력값을 받는 함수
입력변수 앞에 *을 붙이면 입력값들을 전부 모아서 튜플로 만들어 줌.
*함수의 결과값은 언제나 하나!
-return함수를 두개사용 할 경우 하나의 결과값만 나타남.
*함수 안에서 선언된 변수와 밖에서 선언된 변수는 다름.
<함수 안에서 함수 밖의 변수를 변경하는 방법>
*return 이용
=> a=vartest(a)라고 대입하면 a가 vartest함수의 결과값으로 바뀜.
물론 vartest함수 안의 a변수와 함수밖의 a는 다른것.
*사용자 입력과 출력
입력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어떤 변수에 대입하고 싶을 때
input 사용
>>>a = input()
abcdefg
>>>a
'abcdefg'
input은 입력되는 모든 것을 문자열로 취급함.
*input("질문 내용")
end는 한 줄에 결과값을 계속 이어서 출력하게함. 끝 문자를 지정하는 것.
위 그림에서는 ' '한칸 띄우는 것.
*파일 읽고 쓰기
-쓰기
open이라는 파이썬 내장 함수를 사용했다.
open 함수는 다음과 같이 '파일 이름'과 '파일 열기 모드'를 입력값으로 받고 결과값으로 파일 객체를 돌려준다.
f.close()는 열려 있는 파일 객체를 닫아 주는 역할.
*파일 객체 = open(파일 이름, 파일 열기 모드)
직접 만들어보자!
'파이참'이라는 에디터를 이용해서 파일을 써보았다.
이런식으로 새파일.txt 파일이 만들어져 있었고, 모니터 화면에 바로 출력될 내용이 고스란히 파일에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읽기
위의 쓰기모드에서 'w'였던것을 'r'로 바꾸면 된다.
*redline()함수 이용하기
첫 번째 줄을 읽어 출력하는 경우.
위의 파일을 읽어보았다.
이렇게 첫 번째 줄이 읽어진다.
*readlines()함수 이용하기
readline()함수에 's'하나가 더 붙은 모양으로 파일의 모든 라인을 읽어서 각각의 줄을 요소로 갖는 리스트로 리턴함.
*read()함수 이용하기
파일의 내용 전체를 문자열로 리턴.
readlines()함수와 같은 내용이 나옴.
-추가하기
이것도 'r'부분을 'a'로 바꾸면 된다.
*tip 만약 항상 close하기 귀찮다면?
'open' 을쓸때 'with open'을 쓰면 with 블록을 벗어나는 순간 열린 파일 객체 f가 자동으로 close된다.
//책의 반절정도 온 것 같다 ㅋㅋ
블로그에다가 쓰면서 하니 확실히 공부시간이 많이 든다.. 그래도 차근차근 알아가기는 좋은 것 같다.
'언어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모듈 (5) | 2018.07.25 |
---|---|
[Python] 클래스 (0) | 2018.07.25 |
[Python] 제어문 (0) | 2018.07.24 |
[Python] 자료형 (0) | 2018.07.23 |
[python] 설치 (점프투 파이썬) (0) | 2018.07.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