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1

[TCP/IP 그림책] 라우팅(7장) [TCP/IP] 라우팅 라우팅(routing) 라우터가 수행하는 수신처까지의 경로 결정 수신처가 다른 네트워크이므로 일단 라우터 앞으로 패킷을 보냄 회수한 패킷의 수신처를 보고 다음에 전송할 라우터를 결정함 여러 개의 라우터를 거쳐서 패킷을 받음 라우터는 회수한 패킷의 수신 IP 주소를 보고 라우팅 테이블을 참고로 다음에 어떤 라우터에게 전송할지를 결정함 수신 네트워크 : 라우터가 파악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다음 홉 주소 : 수신 네트워크에 전달하기 위한 다음 전송처가 되는 라우터의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메트릭(판단 기준) : 경로의 최적도를 나타내는 수치 (값이 적을수록 뛰어난 경로) 출력 인터페이스 : 다음 전송처의 데이터 링크 정보 경로의 정보원 : 수동으로 등록되.. 2019. 5. 26.
[TCP/IP 그림책] 데이터링크층과 물리층(6장) [TCP/IP] 데이터링크층과 물리층(6장) 데이터 링크 :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된 한 덩어리의 기기 역할 : 데이터 링크 간의 차이를 흡수하고, 네트워크층보다 위에 있는 층이 그 차이를 의식하지 않고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 프레임(frame) : 데이터에 헤더를 붙인 것 데이터 링크층의 프로토콜 : 데이터 링크 안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주고받을지를 결정하는 것 ※ 데이터 링크 내에서 기기를 식별할 필요가 있을 경우 MAC주소를 사용 데이터 링크 안에서 신호가 흐르고 있는 부분 비트열과 신호의 변환이 발생 / 프로토콜x 1) 노드(node) 데이터 링크 상에 있는 기기 ex) 컴퓨터, 라우터 2) 통신매체 노드 간을 연결하는 케이블 등 케이블의 양끝에는 노드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가 붙어있음 (1) 금속.. 2019. 5. 26.
[C++] 함수와 참조, 복사 생성자 [C++] 함수와 참조, 복사 생성자 값에 의한 호출(call by value) : 호출하는 코드에서 넘겨주는 실인자 값이 함수의 매개 변수에 복사되어 전달되는 방식 주소에 의한 호출(call by address) : 주소를 직접 포인터 타입의 매개변수에 전달받는 방식 * swap 함수의 매개변수 비교 참조 변수 : 이미 선언된 변수에 대한 별명 참조 변수를 선언하기 위해서 & 기호를 사용 1) 참조 변수 선언 ※ 참조 변수 선언 시 주의 사항 초기화가 없다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 참조자 &의 위치에 무관 참조 변수의 배열x 참조 변수에 대한 참조 선언o 2019. 5. 24.
[C++] 객체 포인터와 객체 배열 & 동적 생성 [C++] 객체 포인터와 객체 배열 & 동적 생성 객체를 다루기 위해 객체에 대한 포인터 변수를 선언 이 포인터 변수로 객체의 멤버 변수를 읽고 값을 쓰거나 멤버 함수를 호출 객체 자신에 대한 포인터 클래서의 멤버 함수 내에서만 사용됨 static 멤버 함수에서는 사용 x 멤버 함수에 컴파일러 몰래 삽입한 매개 변수 1) 멤버 변수의 이름과 동일한 이름으로 매개 변수 이름을 짓고자 하는 경우 2) 객체의 멤버 함수에서 객체 자신의 주소를 리턴할 경우 ※ 연산자 중복을 구현할 때 多 2019. 5. 22.
[C++] 클래스와 객체 [C++] 클래스와 객체 캡슐화 : 객체의 구성 요소들을 캡슐로 싸서 보호하고 볼 수 없게 하는 것(객체의 가장 본질적인 특징) ※ 일부는 공개함 -> 객체들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통신하기 위해서 클래스 : 객체를 정의하는 틀 객체 : 멤버 함수(행동 behavior)와 멤버 변수(객체의 상태 state)로 구성 변수와 함수로 구성 멤버 변수 멤버 함수 원형형태로 선언 리턴 타입, 매개 변수 리스트 등이 모두 선언되어야 함 public 멤버 : 클래스의 일부 멤버들을 다른 클래스와의 통신을 위해 외부에 공개함 private 멤버 : 클래스 내의 멤버 함수들에게만 접근이 허용됨 protected 멤버 : 클래스 내의 멤버 함수와 이 클래스를 상속받은 파생 클래스의 멤버 함수에게만 접근이 허용됨 ※ 접근 .. 2019. 5. 19.
[TCP/IP 그림책] 네트워크층(5장) TCP/IP 네트워크층 주된 프로토콜 = IP 가 유일 통신 상대를 지정 수신처까지의 경로를 결정 IP 데이터그램 = 데이터에 IP 헤더를 붙인 것 ※ 헤더가 깨지지 않았는지 확인하거나 수신처의 주소가 존재하는지 아닌지 정도의 판단처리o but 재전송x 최적의 경로로 보냄 = IP가 수신처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컴퓨터의 주소' 32 자리의 비트열로 되어있음 서브넷 마스크라는 값을 사용하여 경계를 나타냄 라우터 = 네트워크 간을 연결해서 패킷이 수신처에 전달될 때까지 길 안내를 하는 기기 홉(hop) = 통과한 라우터의 개수로 컴퓨터 사이의 거리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단위 조합한 데이터를 트랜스포트층의 지정된 프로토콜에 전달 헤더의 정보를 보고 원래 형태로 다시 맞춤 IP는 비커넥션형 통신 -> (U.. 2019. 5. 18.
[TCP/IP 그림책] 트랜스포트층(4장) TCP/IP 트랜스포트층 애플리케이션층과 네트워크층의 중개 역할 1) TCP '신뢰성' 중요시 송신하는 데이터를 확실히 상대에게 전달하고 싶을 때 (실패시 재전송) 2) UDP '속도' 중요시 송신하는 패킷이 작을 때나 데이터를 재전송할 필요가 없을 때 사용 포트번호 :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마다 데이터의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음 잘 알려진 포트 번호 : 0~1023 번 까지는 통신 서비스마다 미리 예약되어 있음 포트번호 : 0~65535 1) 커넥션형 통신 : 일 대 일 통신 통신 연결 : 수신측이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한 후 통신을 개시 데이터를 정해진 크기로 분할하고, TCP 헤더를 붙여서 순서대로 송신(세그먼트) 데이터를 다 보낸후 통신 종료 2) 애플리케이션층에 전달 TCP 헤더의 .. 2019. 5. 18.
[TCP/IP 그림책] 애플리케이션층(3장) ※ MIME : SMTP나 POP에서는 취급할 수 없는 형식의 정보를 다룰 수 있는 형태로 변환시켜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줌 ex) text, application, image, audio, video = 통신 서비스를 실현하는 것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 통신 서비스에 대한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주고받기를 정하는 프로토콜 서비스의 수만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이 존재 에플리케이션 헤더 : 애플리케이션층에서 추가되는 헤더 '요청과 응답'에 관한 정보 무엇을 쓸지는 프로토콜에 따라 달라짐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언어(텍스트 기반) or 컴퓨터가 처리하기 쉬운 언어(바이너리 기반)으로 쓰는 경우 多 클라이언트->서버 요청할때 구체적인 데이터x 헤더만을 보냄 HTTP = '요청(request)'과 '응답(res.. 2019. 5. 18.
반응형